•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 밴드 공유
  • Google+ 공유
  • 인쇄하기

상담전화

031-913-9697

업무시간:
평일 오전 9:00 ~ 오후 6:00

FAX 031-913-9698

무료상담신청

- -
  

[자세히보기]

“공기업 직원 5명 중 1명은 ‘유연근무제’ 활용”

공기업 직원 5명 중 1명은 ‘유연근무제’ 활용”
- ‘시차출퇴근형 탄력근무제’ 가장 많이 선택

 

지난해 공기업 임직원 5명 중 1명은 유연근무를 실시한 것으로 조사됐다.

취업포털 사람인(www.saramin.co.kr 대표 이정근)이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 ‘알리오’에 공시된 30개 공기업(준정부기관, 기타공공기관 제외)의 ‘2015년 유연근무 현황’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2015년 기준 조사대상 기업의 정원(비정규직 및 파견직 제외)은 106,022명이었으며, 이들 중 21.3%인 22,563명이 유연근무제도를 활용하고 있었다.

현재 공기업의 유연근무제도는 일정 기간 동안 근무시간을 줄여서 일하는 ‘시간선택제(채용형/전환형)’, 출퇴근시각을 조정하는 ‘탄력근무제’, 자택 등 원하는 곳에서 근무하는 ‘원격근무제’ 등 크게 3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탄력근무제’는 다시 ▲ 시차출퇴근형, ▲ 근무시간선택형, ▲ 집약근무형, ▲ 재량근무형의 4가지로, ‘원격근무제’는 ▲ 재택근무형, ▲ 스마트워크근무형의 2가지로 나눠져 ‘시간선택제’를 포함해 총 7가지의 유연근무가 운영 중이다.

조사대상 공기업의 유연근무자 수는 꾸준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지난 2011년 총 유연근무자 수는 2,740명이었으나, 2012년 5,860명, 2013년 11,384명, 2014년 16,743명, 2015년 22,563명으로 2012년부터 매년 5,000명 가량 늘었다.

그렇다면, 임직원들이 가장 많이 선택한 유연근무는 무엇이었을까?

가장 많은 직원들이 활용하는 유연근무는 시차출퇴근형 탄력근무제로, 14,438명이 선택해 전체 유연근무자의 64%에 달했다. 특히, 시차출퇴근형 탄력근무제 이용자수는 2011년에는 2,043명이었으나, 4년만에 무려 12,000명 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많은 유연근무는 근무시간선택형 탄력근무제로, 유연근무자의 22.6%인 5,107명이 이용했다. 이어서 시간선택제(7.3%, 1,657명), 스마트워크근무형 원격근무제(3.5%, 784명), 집약근무형 탄력근무제(1.8%, 410명), 재택근무형 원격근무제(0.7%, 167명) 순이었다.

사람인의 임민욱 팀장은 “일과 삶의 균형을 추구하는 문화가 점차 확산되면서 유연근무에 대한 선호가 높아지고 있다. 현재 공기업과 일부 대기업을 중심으로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지만, 아직까지 일반 기업의 도입은 저조한 것이 현실이다. 개인의 능률과 삶의 만족도를 높이고, 조직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국가 경쟁력 강화에도 기여할 수 있는 제도인 만큼 더 많은 기업이 시행할 수 있도록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라고 덧붙였다.

 

발행처 : 사람인

0

추천하기

0

반대하기

첨부파일 다운로드

등록자관리자

등록일2016-05-12

조회수2,496

  •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 밴드 공유
  • Google+ 공유
  • 인쇄하기
 
스팸방지코드 :

고용부, 인적자원개발 우수 기업 54곳 선정

고용부, 인적자원개발 우수 기업 54곳 선정- 「2016년 인적자원개발 우수기관 인증수여식」개최 고용노동부와 한국산업인력공단은 23일(금), 「2016 인적자원개발 우수기관 인증수여식」을 개최하고, 우수기관으로 선정된 총 54개 기업에 대해 인증패와 인증서를 수여했다.「인적자원개발 우수기관 인증제(Best HRD: Best Human Resources Developer)」는 인적자원을 능력을 중심으로 채용..

Date 2016.09.26  by 관리자

중앙행심위 “건물주와 용역업체 간 계약 해지로 인해 퇴직..

국민권익위원회(위원장 성영훈) 소속 중앙행정심판위원회(이하 중앙행심위)는 빌딩주가 계약 해지를 통보하여 경비용역회사가 근로자를 퇴직시킨 경우를 고용조정으로 근로자를 이직시킨 것으로 보고 기 지급한 고령자 고용지원금의 회수를 결정한 서울지방고용노동청(이하 고용노동청)의 처분은 잘못이라고 재결하였다.경비용역회사 A사는 만 60세 이상 근로자의 비율이 고..

Date 2016.09.26  by 관리자

여가부, 재취업 성공한 경력단절여성 등을 위한 ‘온라인 직..

여성가족부(장관 강은희)는 재취업에 성공한 경력단절여성 등이 새 일터에서 성공적으로 안착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온라인 직장적응 상담서비스’를 9월 26일(월)부터 개시한다. ‘온라인 직장적응 상담서비스’는 여성들이 직장생활을 하면서 겪게 되는 노무·법률, 심리, 육아·보육 등 다양한 어려움에 대해 경력유지상담사의 1:1 상담과 전문가 조언을 제공하는 ..

Date 2016.09.27  by 관리자

직장 내 성차별, 성희롱 감시 맡긴 명예고용평등감독관 75.1%..

직장 내 성차별, 성희롱 감시 맡긴 명예고용평등감독관 75.1%가 남성- 이정미 의원 “고용노동부 고용평등감독관 여성 비율 높이고, 실효적인 감독방안 내 놓아야” - 성평등 조치 필요로 하는 여성들 정작 위촉 안하는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제도- 여성 노동자 75.6% 고용된 100인 미만 사업장도 감독관 75%가 남성- 보고 의무 없다는 이유로 감독관 실적도 사실상 전무직장 내 성차..

Date 2016.09.27  by 관리자

“인사담당자가 꼽은 면접 비호감 1위, 지각!”

어렵게 서류 전형을 통과하고 면접에 입성했지만, 실수로 인해 좋지 못한 평가를 받는 지원자들이 적지 않다. 그 중에서도 기업들이 가장 비호감으로 여기는 지원자는 면접에 지각하는 유형인 것으로 나타났다.취업포털 사람인(www.saramin.co.kr 대표 이정근)이 기업 인사담당자 531명을 대상으로 ‘면접 시 가장 비호감인 지원자 유형’에 대해 조사한 결과, ‘지각하는 지원자’(23%..

Date 2016.09.27  by 관리자

직장 내 업무 커뮤니케이션을 가장 망치는 것은?

대부분 직장인이 잠자는 시간을 제외하고 하루 중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곳은 바로 직장일 것이다. 이런 직장에서 직장인들은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하고 있을까?벼룩시장구인구직(대표이사 최인녕)이 자사 소셜네트워크를 방문한 직장인 750명을 대상으로 직장 내 업무 커뮤니케이션에 대해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응답자의 59.3%가 ‘직장 내 업무 커뮤니케이션이 원활하..

Date 2016.09.27  by 관리자

고용부, 「중장년 채용한마당」 개최

고용부, 「중장년 채용한마당」 개최- 9.27(화), aT센터에서 주요 대기업, 우수 중견·중소기업 등 120개사 참여 고용노동부는 장년고용강조주간(9.26~30)을 맞아 9.27(화) aT센터에서 120여개 기업이 참여하는 중장년 채용박람회를 개최하였다.「다시 뛰는 중장년! 2016 대한민국 중장년 채용한마당」이라는 슬로건 아래 열린 이번 일자리 박람회는 중장년에게는 양질의 일자리를, 구..

Date 2016.09.28  by 관리자

고용부, 장년친화직장만들기 우수사례집 발간

고용노동부는 장년고용강조주간(9.26.~9.30.)을 맞아, 장년 친화적인 직장 만들기에 성공한 기업의 사례집을 발간하였다. 이번 사례집에는 각각 업종이 다른 9개 업체의 장년친화직장만들기 사례가 회사 담당자 및 전문컨설턴트의 인터뷰와 함께 스토리 형식으로 수록되어 있다.인구 고령화, 60세 정년제 시행 등 환경변화와 마주한 기업들은 장년친화적 인사제도 개편 및 장년 근..

Date 2016.09.28  by 관리자

“기업 10곳 중 6곳, 채용 시 성별 따진다”

“기업 10곳 중 6곳, 채용 시 성별 따진다”- ‘男이 女보다 2배 이상 유리’ 기업 10곳 중 6곳은 채용 시 성별을 고려하고 있으며, 이때 남성이 유리한 기업이 여성이 유리한 기업보다 2배 이상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취업포털 사람인(www.saramin.co.kr 대표 이정근)이 기업 407개사를 대상으로 ‘채용 시 지원자의 성별을 고려하는지 여부’를 조사한 결과, 59.5%가 ‘고려한다’라..

Date 2016.09.28  by 관리자

고용부, 2016년 일자리창출 유공 정부포상 시상식 개최

고용부, 2016년 일자리창출 유공 정부포상 시상식 개최- “원·하청 상생, 임금피크제 도입, 시간선택제 일자리 확대 등의 노력으로 일자리 창출 및 경영성과 높여” 고용노동부는 9월 28일(수), 「2016년 일자리창출 유공 정부포상 시상식」을 개최하여 ㈜한화 이태종 대표이사(금탑산업훈장) 등 노동개혁 현장 실천을 통해 일자리 창출에 기여한 개인 및 단체에게 총 171점의 훈..

Date 2016.09.29  by 관리자

알바생 10명 중 4명, “주휴수당 몰라요”

알바생 10명 중 4명, “주휴수당 몰라요”- 근로인식, 최저시급(92.1%) > 주휴수당(62.2%) > 퇴직금(52.7%) 올 상반기 아르바이트를 했던 알바생 10명 중 4명은 법이 보장하는 주휴수당이나 퇴직금, 연차휴가제도를 잘 모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잡코리아가 운영하는 아르바이트포털 알바몬이 올 상반기 아르바이트 경험이 있는 알바생 770명을 대상으로 근로인식에 대해 조사..

Date 2016.09.29  by 관리자

한국노총, 2차 참여형 산업안전보건 교육 실시

한국노총, 2차 참여형 산업안전보건 교육 실시- 노동자의 생명과 건강보호를 위한 노동조합의 현장활동 강화 한국노총은 9월28일(수)부터 30일(금)까지 강원도 원주 오크밸리에서 회원조합 및 현장 노동조합 간부 90여명을 대상으로 노동조합의 자주적이고 일상적인 안전보건 활동 강화를 위한 ‘2016년 2차 참여형 산업안전보건 교육’을 실시한다.우리나라의 경우 해마다 약 1..

Date 2016.09.29  by 관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