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 밴드 공유
  • Google+ 공유
  • 인쇄하기

상담전화

031-913-9697

업무시간:
평일 오전 9:00 ~ 오후 6:00

FAX 031-913-9698

무료상담신청

- -
  

[자세히보기]

“공기업 직원 5명 중 1명은 ‘유연근무제’ 활용”

공기업 직원 5명 중 1명은 ‘유연근무제’ 활용”
- ‘시차출퇴근형 탄력근무제’ 가장 많이 선택

 

지난해 공기업 임직원 5명 중 1명은 유연근무를 실시한 것으로 조사됐다.

취업포털 사람인(www.saramin.co.kr 대표 이정근)이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 ‘알리오’에 공시된 30개 공기업(준정부기관, 기타공공기관 제외)의 ‘2015년 유연근무 현황’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2015년 기준 조사대상 기업의 정원(비정규직 및 파견직 제외)은 106,022명이었으며, 이들 중 21.3%인 22,563명이 유연근무제도를 활용하고 있었다.

현재 공기업의 유연근무제도는 일정 기간 동안 근무시간을 줄여서 일하는 ‘시간선택제(채용형/전환형)’, 출퇴근시각을 조정하는 ‘탄력근무제’, 자택 등 원하는 곳에서 근무하는 ‘원격근무제’ 등 크게 3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탄력근무제’는 다시 ▲ 시차출퇴근형, ▲ 근무시간선택형, ▲ 집약근무형, ▲ 재량근무형의 4가지로, ‘원격근무제’는 ▲ 재택근무형, ▲ 스마트워크근무형의 2가지로 나눠져 ‘시간선택제’를 포함해 총 7가지의 유연근무가 운영 중이다.

조사대상 공기업의 유연근무자 수는 꾸준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지난 2011년 총 유연근무자 수는 2,740명이었으나, 2012년 5,860명, 2013년 11,384명, 2014년 16,743명, 2015년 22,563명으로 2012년부터 매년 5,000명 가량 늘었다.

그렇다면, 임직원들이 가장 많이 선택한 유연근무는 무엇이었을까?

가장 많은 직원들이 활용하는 유연근무는 시차출퇴근형 탄력근무제로, 14,438명이 선택해 전체 유연근무자의 64%에 달했다. 특히, 시차출퇴근형 탄력근무제 이용자수는 2011년에는 2,043명이었으나, 4년만에 무려 12,000명 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많은 유연근무는 근무시간선택형 탄력근무제로, 유연근무자의 22.6%인 5,107명이 이용했다. 이어서 시간선택제(7.3%, 1,657명), 스마트워크근무형 원격근무제(3.5%, 784명), 집약근무형 탄력근무제(1.8%, 410명), 재택근무형 원격근무제(0.7%, 167명) 순이었다.

사람인의 임민욱 팀장은 “일과 삶의 균형을 추구하는 문화가 점차 확산되면서 유연근무에 대한 선호가 높아지고 있다. 현재 공기업과 일부 대기업을 중심으로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지만, 아직까지 일반 기업의 도입은 저조한 것이 현실이다. 개인의 능률과 삶의 만족도를 높이고, 조직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국가 경쟁력 강화에도 기여할 수 있는 제도인 만큼 더 많은 기업이 시행할 수 있도록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라고 덧붙였다.

 

발행처 : 사람인

0

추천하기

0

반대하기

첨부파일 다운로드

등록자관리자

등록일2016-05-12

조회수2,495

  •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 밴드 공유
  • Google+ 공유
  • 인쇄하기
 
스팸방지코드 :

직장인 60%, 회식하며 스트레스 받는다!

직장인 10명 중 6명은 회식을 하며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최근 직장인 456명을 대상으로 ‘직장 내 회식문화’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먼저 설문에 참여한 직장인들의 ‘회식 유형’을 조사했다. 직장인들에게 ‘주로 어떤 회식을 하는지’ 묻자(*복수응답), ‘술자리 회식’이라는 답변이 응답률 80.5%로 1위를 차지했다. ‘술자리 회식’은..

Date 2016.07.12  by 관리자

서울시, 기간제근로자 정규직과 차별없도록 처우 개선

서울시, 기간제근로자 정규직과 차별없도록 처우 개선- 7월 중「서울시 기간제 관리규정」일부 개정, 근로자 복지향상에 중점 - 기간제근로자 1,053명 대상, 휴일·병가제도 개선해 불합리한 차별 방지- 근로자의 날은 물론 임시공휴일을 포함한 관공서 공휴일까지 전면 적용- 건강 검진, 투표 참여, 천재·지변·교통통제 등 출근 불가능시 공가 인정서울시가 시 본청 및 사업소..

Date 2016.07.12  by 관리자

고용부·고용정보원, '대학 전공별 진로가이드' 발간

고용부·고용정보원, `대학 전공별 진로가이드` 발간- 졸업 후 진출 가능한 주요 직업, 타 분야와 융합 가능 진출 직업 등 소개 고용노동부와 한국고용정보원은 각 전공에서 배우는 지식과 기술을 연계하여 진출할 수 있는 다양한 직업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대학 전공별 진로가이드>를 발간하였다.특히, 대학생들이 졸업 후 취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인문사회계열, ..

Date 2016.07.13  by 관리자

제1호 공동근로복지기금법인 탄생

제1호 공동근로복지기금법인 탄생- 현대엘리베이터와 협력업체간의 상생협력 노력의 결실 7.12, 고용노동부(이기권장관)와 근로복지공단(이재갑이사장)은 중소기업연합형 공동근로복지기금 지원사업의 첫 수혜대상으로 ‘현대엘리베이터 설치협력업체 공동근로복지기금법인’(이하 ‘현대엘리베이터 설치 공동기금법인’이라 함)을 선정하고, 2억2천8백5십만원을 지원하..

Date 2016.07.13  by 관리자

보건의료노동자 직장폭력 경험은 폭언(41%), 폭행(5.5%), 성폭..

보건의료노동자 직장폭력 경험은 폭언(41%), 폭행(5.5%), 성폭력(1.1%)- 보건의료노조, 2016년 보건의료노동자 실태조사 결과 - 직장폭력 가해자는 환자, 보호자, 의사 순으로 많아 - 수면상태 평가 38.3점(100점 만점).....수면장애 심각한 수준- 솔직한 감정 숨기고 일해(90.5%) ... 극심한 감정노동 질병으로 고통받고 있는 환자들의 건강과 생명을 책임지고 있는 병원노동자들이..

Date 2016.07.13  by 관리자

에어컨 수리기사 중대재해예방 안전점검, 사법처리 2건

에어컨 수리기사 중대재해예방 안전점검, 사법처리 2건- 서울북부지역 삼성전자서비스 등 협력업체 11개소 기획 감독 고용노동부 서울북부지청(지청장 김홍섭)은 6.30.부터 7.6.까지 1주일간 관내 에어컨 수리업체(중대재해 발생사업장 포함 11개소-삼성전자서비스, LG전자, 캐리어, 대유위니아, 센추리 등 원청 5개사 협력업체 11개소)에 대한 기획 감독을 실시하여 총 16건의 산..

Date 2016.07.13  by 관리자

“아빠도 육아휴직 쓰고 싶다! 하지만 현실은…”

“아빠도 육아휴직 쓰고 싶다! 하지만 현실은…”- 女 95%, 男 89%, 육아휴직 사용 원해’ 부부가 자녀 양육을 분담해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여성의 전유물로 여겨졌던 육아휴직을 원하는 남성 직장인이 증가하고 있다.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www.saramin.co.kr 대표 이정근)이 직장인 1,575명을 대상으로 ‘출산에 따른 육아휴직제도 사용 희망 여부’를 설문한 결과, 91.4%가 ..

Date 2016.07.13  by 관리자

「찾아가는 화학물질 알리기 사업」실시

안전보건공단(이사장 이영순)은 한국산업간호협회와 공동으로 7월부터 11월까지 소규모 사업장 2,000개소를 대상으로 「찾아가는 Yes – No 화학물질 알리기 사업」을 실시한다.찾아가는 Yes - No 화학물질 알리기 사업」은 ‘화학물질 알기 Yes – 화학사고 No’에 대한 사업으로,화학물질 정보에 취약한 소규모사업장을 방문하여 취급물질에 대한 올바른 사용방법 등 취급관리에 대..

Date 2016.07.13  by 관리자

올 상반기 이직 성공률 40.7%

올 상반기 이직 성공률 40.7%- 상반기 신입직 취업 성공률 26.2%에 비해 14.5%P 높아 올 상반기 이직을 시도했던 직장인 10명 중 4명 정도는 이직에 성공한 것으로 집계됐다.취업포털 잡코리아가 올 상반기 이직을 시도했던 남녀직장인 1,424명을 대상으로, ‘상반기 이직 현황’에 대해 조사한 결과, 설문에 참여한 이직자 중 40.7%가 올 상반기 이직을 위해 입사지원 했던 기업으로부..

Date 2016.07.14  by 관리자

서울시직장맘지원센터 개소 4주년, 상담 81% '직장 내 고충'

서울시직장맘지원센터 개소 4주년, 상담 81% `직장 내 고충`- 개소 이래 온·오프라인으로 상담 및 분쟁해결, 총 10,378건 종합상담  - 국내 최초 ‘직장맘 고충상담 전용콜’, 120번+ 5번 전담 노무사와 연결 서울시 직장맘들은 직장 내 고충, 특히 출산전후휴가와 육아휴직을 둘러싼 각종 불이익에 대한 고충을 가장 크게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2월 7월 개관 이..

Date 2016.07.14  by 관리자

건설업체 평균 환산재해율 최근 5년간 가장 높은 수치

건설업체 평균 환산재해율 최근 5년간 가장 높은 수치- 고용부, 2015년 건설업체 및 공공 발주기관 산업재해 조사결과 발표 고용노동부는 건설업체(시공능력평가액 1,000위 이내) 및 건설공사를 발주하는 주요 공공기관의 ’15년도 산업재해 조사결과를 발표하였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15년도 1,000대 건설업체의 평균 환산재해율은 0.51%로 전년도 0.45%에 비해 0.06%p 높게 나..

Date 2016.07.14  by 관리자

사회적기업 금융 활용 역량강화 사업 추진

사회적기업 금융 활용 역량강화 사업 추진- 사회적기업 창업팀 대상 성장 솔루션(투자편) 교육도 시행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이하 진흥원)은 사회적기업이 다양한 금융제도를 통해 필요한 자금을 조달받을 수 있도록 ‘사회적 금융 활용 역량강화 교육’을 시행한다고 15일 밝혔다. 정책자금, 민간금융 등 사회적기업이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금융제도를 소개하고, 신용..

Date 2016.07.15  by 관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