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 밴드 공유
  • Google+ 공유
  • 인쇄하기

상담전화

031-913-9697

업무시간:
평일 오전 9:00 ~ 오후 6:00

FAX 031-913-9698

무료상담신청

- -
  

[자세히보기]

한국형 일학습병행제 정착을 위한 국제컨퍼런스 개최

한국형 일학습병행제 정착을 위한 국제컨퍼런스 개최
- 9월 22일(목) 서울 JW 메리어트 그랜드볼룸에서 다양한 강연 진행

 

고용노동부와 한국산업인력공단이 주최하고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 주관하는 「제3회 한국형 일학습병행제 정착을 위한 국제컨퍼런스」가 9월 22일(목) 서울 반포동 JW 메리어트 그랜드볼룸에서 개최되었다. 

일학습병행제 국제 컨퍼런스는 한국형 도제제도인 일학습병행제가 시범 도입된 2014년부터 시작되었으며, 도제훈련 관련 국내외 저명인사를 초빙하여 해외의 도제훈련 현황, 이슈, 개선방안 등을 공유하고 논의하는 장을 제공하면서, 국내 최대 규모의 도제훈련 관련 국제행사로 자리매김했다. 

올해 컨퍼런스는 “각국 정부는 왜 도제제도를 활성화시키려하는가?: 도제훈련 운영현황과 성과의 국제비교”라는 주제 아래 진행되었으며, 전문가들이 전하는 도제훈련의 사회·경제적 이익, 해외 주요국의 도제훈련 참여 확대 방안 등을 통해 한국형 도제제도의 활성화 방안에 대해 함께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날 컨퍼런스에서는 도제훈련의 최고 전문가인 국제노동기구(ILO)의 카즈토시 차타니(Kazutoshi Chatani) 전문위원이 기조강연자로 나섰으며, 독일, 덴마크, 한국, 스위스, 호주, 대만 등 6개국의 도제훈련 전문가가 강연을 펼쳤다. 

카즈토시 차타니 전문위원은 기조연설을 통해 청년층의 고용문제 해결 등을 위해 최근 국제사회에서 도제훈련의 필요성이 다시 주목받고 있음을 언급하며, 기존의 경험적 연구를 토대로 훈련초기 단계에서는 비용이 더 크게 발생하지만, 훈련이 진행될수록(또는 훈련 종료 후에도) 편익이 더 크게 발생하여 전반적으로 성과가 창출됨을 강조하였다. 또한, 캐나다, 호주, 영국 등 도제훈련 활성화를 위한 각국 정부의 노력을 소개하며, 도제훈련이 독일·스위스 등 독어권 국가에만 한정된 직업교육훈련제도가 아니라 캐나다, 영국, 호주 등 많은 국가에서 도입하는 세계적 교육훈련 트렌드라는 점을 보여주었다. 

독일연방직업훈련연구소(BIBB) 필립 그롤만(Philipp Grollmann) 박사는 “독일 도제훈련의 비용·편익 및 향후과제”를 주제로 기업, 훈련생, 국가 차원에서의 도제훈련 성과를 소개하였다. 기업 측면에서는 중장기적으로 ▲기업 경쟁력 향상, ▲채용 비용 절약 등의 편익이 더 크게 나타남에 따라 기업이 도제훈련에 투자할 유인이 있음을 강조하였다. 훈련생 입장에서는 ▲훈련수당(평균 800유로), ▲노동시장 진입 및 임금 상승 기회, ▲미숙련 근로자에 비해 더 높은 임금 보장 등의 편익이 발생하고, 국가 차원에서는 ▲청년 고용률 제고, ▲독일 기업 경쟁력 상승, ▲노동시장과 학교교육간 불일치 해소, ▲사회 통합 등의 성과가 크게 나타남을 강조하였다. 또한, 최근 독일도 ▲대학 교육에 대한 선호도 증가,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디지털화 등의 환경 변화에 대한 대응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점도 언급하였다. 

호주 도제지원센터 MEGT(Australia) 데이비드 윈드리지(David Windridge) 대표는 ▲도제훈련 개혁, ▲도제훈련 정부지원금 제공, ▲훈련 이수률 제고를 위한 기업맞춤형 지원 시스템 개편 등 도제훈련 성과 제고를 위한 호주 정부의 노력을 소개하였다. 우선, 호주 정부는 지난 30년간 산업계 참여를 제고하기 위해 ▲중소기업을 위한 그룹훈련모델(Group Training model) 도입(70년대), ▲대규모 재정적 인센티브 제공(90년대), ▲학생, 파트타임 근로자, 기존 재직자(existing worker)까지 참여범위를 확대하여 유연성을 제고(90년대)하는 등 도제훈련 개혁을 실시하였다. 또한, 기업의 참여를 독려하기 위해 정부 지원을 확대하고 있으며 ‘16-’17년에는 8억 달러 이상을 도제훈련에 투자하고 있다. 도제훈련의 이수률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11개의 도제훈련지원센터(Australian Apprenticeship Network Provider: AANP)를 두어, 도제훈련 전 과정에서 기업 맞춤형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이 외에도 ▲덴마크 메트로폴리탄 대학 피터 코달(Peter Koudahl) 교수의 ‘덴마크 도제훈련- 현황, 성과 및 사회적 파트너의 역할’과 ▲스위스 연방직업능력개발원 안체 바라바쉬(Antje Barabasch) 박사의 ‘스위스 도제훈련의 성공적 투자방안’, ▲대만 노동부 노동력발전서의 셴 웬리(Wen-Li Shen)의 ‘대만의 도제훈련 현황과 성과’,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강경종 센터장의 ‘한국 일학습병행제의 운영 현황과 성과’ 등의 유익한 강연과 토론이 이어졌다.

고용노동부 권기섭 직업능력정책국장은 “이번 컨퍼런스는 세계 최고 도제훈련 전문가들의 생생한 강연을 직접 듣고, 도제훈련 관련 궁금증들을 해소할 수 있는 좋은 기회”라면서, “일학습병행제가 현장에 성공적으로 안착되고, 확산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나가겠다.”고 밝혔다.

 

발행처 : 고용노동부


0

추천하기

0

반대하기

첨부파일 다운로드

등록자관리자

등록일2016-09-23

조회수2,937

  •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 밴드 공유
  • Google+ 공유
  • 인쇄하기
 
스팸방지코드 :

고용보험DB와 WORK-NET을 활용한 고용행정 통계 분석・제공

고용노동부는 처음으로 금년 6월부터 고용보험DB의 피보험자 현황과 구직급여 신청 통계 및 WORK-NET 상의 구인・구직 통계를 연계・분석한 고용행정 통계분석을 제공하기로 했다. 이는 조사통계의 경우, 조사시점과 분석・제공 시점과의 시차로 인한 한계가 있기 때문에 신속한 노동시장 분석을 위해서는 행정통계 분석이 필요하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새로운 고용행정 ..

Date 2016.06.13  by 관리자

조선업 고용지원대책, 속도감 있게 추진

조선업 고용지원대책, 속도감 있게 추진한다.조선업 구조조정 방향이 발표(6.8)됨에 따라 고용노동부는 조선업체와 근로자에 대한 고용지원대책을 더욱 신속하게 추진하기로 하였다.❖ 특별고용지원업종 지정 추진 계획 고용부는 지난 5.13 조선해양플랜트협회에서 제출한 「조선업 특별고용지원업종 지정 신청서」 내용*을 면밀히 검토하면서 업계 및 자치단체 현장간담회(..

Date 2016.06.10  by 관리자

“가장 뽑고 싶은 신입사원 유형 1위는?”

신입사원 채용 시 능력보다는 태도와 인성을 더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드러났다.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www.saramin.co.kr 대표 이정근)이 기업 인사담당자 419명을 대상으로 ‘올 상반기 신입 채용에서 가장 뽑고 싶었던 지원자 유형’을 조사한 결과, ▲ 밝고 예의 바른 태도를 지닌 지원자(42%)가 1위를 차지했다.다음으로 ▲ 자신감 넘치고 열정적인 지원자(18.4%) ▲ 회사, 직무에 ..

Date 2016.06.10  by 관리자

근무시간 중 제대로 쉬는 알바생 32.3% 뿐

근무시간 중 제대로 쉬는 알바생 32.3% 뿐- 알바생 34.2% `휴게시간도 없이 일한다` 근무시간 중 제대로 쉬는 알바생은 세 명 중 한 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알바생 세 명 중 두 명은 아예 쉬지 못하거나 혹은 법정 휴게시간을 제대로 보장받지 못한 채로 일하고 있었다.취업포털 잡코리아가 운영하는 아르바이트 포탈 알바몬이 최근 하루 4시간 이상 근무하는 알바생 1,823명..

Date 2016.06.09  by 관리자

“구직자, 입사기업 선택 조건 1위는? 연봉!”

“구직자, 입사기업 선택 조건 1위는? 연봉!”- ‘희망연봉 3,032만원’ 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www.saramin.co.kr 대표 이정근)이 신입 구직자 445명을 대상으로 ‘입사 지원 시 가장 중요하게 보는 조건’을 조사한 결과, ‘연봉’(21.1%)이 1위를 차지했다.다음으로 ‘복리후생’(16.6%), ‘기업 성장성 및 안정성’(15.7%), ‘근무 시간’(15.1%), ‘직무’(14.6%), ‘출퇴근 소요 시간’(8.1..

Date 2016.06.09  by 관리자

안전보건공단, 밀폐공간 질식사고 위험경보 발령

안전보건공단은 여름철 정화조, 맨홀 등 밀폐공간에서의 질식사고 발생이 우려됨에 따라 경보를 발령하고 재해예방 대책 마련에 나섰다. 안전보건공단은 위험경보 발령과 함께 작업 현장별 매뉴얼을 제작하고, 지자체와 관련 협회 등을 통해 맨홀이나 정화조 청소작업 현장에 보급한다. 또한, 관련 사업장에서 산소농도측정기와 공기호흡기 등이 필요할 경우, 안전장비를 ..

Date 2016.06.08  by 관리자

주요 대기업 근로자의 44.8%, 직능급 또는 직무급 적용 중

주요 대기업 근로자의 44.8%, 직능급 또는 직무급 적용 중- 임금체계 현황 및 애로요인 조사 - 500대 기업(170개사 응답) 근로자 중 호봉급 적용 비율은 43.3%- 올해 대기업은 ‘기본급 인상률 차등제도 도입’, ‘성과급 비중 확대’를 중점적으로 추진500대 기업 근로자의 44.8%는 이미 기본급으로 직능급 또는 직무급을 도입했으며, 호봉급을 적용받는 근로자 비중은 43.3%인 것으로 ..

Date 2016.06.08  by 관리자

알바생 35% '임금 관련 부당처우' 경험했다!

알바생 10명 중 3명은 임금과 관련된 부당처우를 겪은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운영하는 아르바이트 포털 알바몬이 현재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는 알바생 1,052명을 대상으로 ‘최저시급과 부당처우’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알바몬이 설문에 참여한 알바생들에게 ‘임금 관련 부당처우를 겪은 경험이 있는지’ 묻자, 35.9%의 응답자들이 ‘그렇다..

Date 2016.06.08  by 관리자

“직장인 10명 중 7명, 투잡 뛰고 싶어!”

직장인 10명 중 7명은 본업 외 부업에 종사하는 이른바 ‘투잡’을 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www.saramin.co.kr 대표 이정근)이 직장인 1,087명을 대상으로 ‘본업 외 투잡을 할 의향’을 조사한 결과, 73.8%가 ‘의향이 있다’라고 답했다.성별에 따라서는 ‘여성’(80.5%)의 응답률이 `남성’(70.1%)보다 더 높았다.연령대별로는 ‘40대’(78.1%), ‘30대’(75...

Date 2016.06.08  by 관리자

고용부 추천 청년 친화 우수 교육훈련과정 800선 선정 안내

고용부 추천 청년 친화 우수 교육훈련과정 800선 선정 안내여름방학엔 기업이 원하는 교육훈련 참여로 ‘내 일’ 찾자요즘 청년들은 해외 교환학생 준비, 전과·휴학은 물론, 방학이면 어김없이 어학연수를 가고, 학교 도서관 등에서는 자격증 및 공무원 시험 준비 등 통상적인 스펙 쌓기로 분주하게 움직이거나, 적성에 대한 고민과 취업 스트레스로 방황하는 학생들을 어렵지 ..

Date 2016.06.07  by 관리자

“스크린도어 사고 반복 막기 위해선 외주화 근절, 직영화 ..

“스크린도어 사고 반복 막기 위해선 외주화 근절, 직영화 필요”- 사회공공연구원, “구의역 사망사고는 외주화의 근본적 문제점 겹치면서 발생, 서울시는 외주업무 직영화하는 모범사용자 역할 다해야, 행자부의 인건비 통제도 개선되어야” 사회공공연구원은 6월 3일(금) 이슈페이퍼를 발간하여 반복되는 스크린도어(이하 승강장 안전문) 사고를 막기 위해서는 스크린도..

Date 2016.06.07  by 관리자

금융 산별중앙교섭... 사측, 저성과자 해고 기준 마련 요구

금융 산별중앙교섭... 사측, 저성과자 해고 기준 마련 요구- 금융노조 “쉬운해고 요구 사측, 총파업 부추기나?”... 사측안 철회 요구 - “성과연봉제, 쉬운해고와 관계없다”는 금융위원장 말 새빨간 거짓말로 드러나 금융노조는 6월2일(목) 오후 4시 금융산업사용자협의회와 2차 산별중앙교섭을 가졌다. 이날 교섭에서 사측이 △호봉제 폐지 및 성과연봉제 도입 △저성과..

Date 2016.06.03  by 관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