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 밴드 공유
  • Google+ 공유
  • 인쇄하기

상담전화

031-913-9697

업무시간:
평일 오전 9:00 ~ 오후 6:00

FAX 031-913-9698

무료상담신청

- -
  

[자세히보기]

서울시 아르바이트 평균시급 ‘6,687원’, ‘알바시장 ‘강남쏠림 현상’ 여전

서울시 아르바이트 평균시급 ‘6,687원’, ‘알바시장 ‘강남쏠림 현상’ 여전
- 채용공고 수 강남 3구 1, 2, 3위 싹쓸이, 강남 > 서초 > 송파구 순

 

올해 1분기 서울지역 아르바이트 전체 평균시급은 6,687원으로 법정최저임금(6,030원)보다 657원 높고 전국 평균(6,475원)보다 212원 높게 나타났다. 

아르바이트 포털 알바천국(대표 최인녕)이 한국노동사회연구소와 공동으로 서울시 25개 자치구 아르바이트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2016년 1월부터 3월까지 등록된 채용 공고 25만 1,845건을 분석해 ‘2016 1분기 서울지역 아르바이트 노동실태’를 발표했다. 

채용공고 수를 통한 서울 자치구별 구인 현황을 살펴보면, 강남구가 3만 6,261건으로 전체의 14.4%를 기록하며 2013년 처음 조사를 시작한 이래 3년 연속 아르바이트생을 가장 많이 채용하는 지역으로 분석됐고, 그 뒤를 이어 서초구가 2만 1,418건(8.5%)로 2위, 송파구가 1만 6,038건으로 3위를 기록해 알바시장에서 강남쏠림 현상이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채용공고 수가 가장 적은 지역은 강북의 도봉구(3,085건), 강북구(4,179건), 중랑구(4,263건)로 3곳의 총 채용공고 수가 강남 3구(강남구, 서초구, 송파구)와 비교했을 때 6배 정도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전체 107개의 업종에서 상위 40개 중 음식점이 4만 2,039건(시급 6,746원)의 채용 공고 수로 1위를 차지하고 있다. 다음으로 편의점(4만 2,013건/ 6,207원)이 2위, 일반주점·호프(2만 1,125건/ 6,764원)이 3위, 패스트푸드(1만 9,535건/ 6,894원)이 4위, 커피전문점(1만 6,892건/ 6,254원)이 5위를 기록하고 있어 전통적으로 시급이 낮은 일자리들이 상위권을 형성하고 있다. 

서울시 자치구별 평균시급을 살펴보면, 강서구가 6,882원으로 가장 높은 평균시급을 보이고 있으며, 2위는 평균시급 6,848원인 강남구가 차지했다. 그 뒤로 동대문구(6,733원), 영등포구(6,720원)가 3위, 4위를 기록 중이다. 평균시급이 제일 낮은 지역은 도봉구로 6,376원으로 1위인 강서구와 비교해 506원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강남과 강북지역으로 비교해 봤을 때 강북지역 시급은 6,586원(서울평균 대비 ▼101원)이었고, 강남지역 시급은 6,660원(서울평균 대비 ▼27원)이었다. 특히, 서울지역 강남 3구(서초, 강남, 송파)의 시급은 6,732원으로 서울지역 전체 시급 대비 45원(전국 대비 ▲257 원)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상대적으로 높은 물가를 자랑하는 강남 3구의 특성이 아르바이트 시급에도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서울지역 아르바이트 시급 상위 10개 업종의 평균 시급은 9,706원이며, 모델(11,370원), 설문조사·리서치(9,796원), 방문·학습지(9,335원), 헤어·피부·미용(9,055원), 여행가이드(8,863원), 가사육아도우미(8,540원), 개인지도·과외(8,387원), 대학·교육기관(8,229원) 순으로 전문직에 가까운 일자리가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서울지역 아르바이트 시급 분포도를 살펴보면 6,030원~7,144원이 전체 85.9%로, 서울지역 중 올해 서울시 생활임금(시급 7,145원) 이상을 지급하고 있는 곳은 14%에 불과한 실정이다. 

더불어 아르바이트 채용이 활발한 대학가 채용 공고 수를 분석한 결과, 홍익대 주변이 7,583건으로 가장 많이 아르바이트생을 뽑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건국대 6,972건, 서울대 4,061건, 서울교대 4,070건, 한양대 3,333건 순이었다. 

대학가 주변 평균 시급은 서울시립대 주변이 6,958원으로 가장 높은 평균 시급을 기록했고, 가장 많이 알바생을 뽑는 홍익대 주변은 6,722원으로 평균시급 순위에서는 4위에 머물렀다. 

이 외에 이력서를 가장 많이 낸 업종을 연령별로 분석한 결과, 10대나 20대 초반은 음식점, 커피전문점, 편의점 등 매장관리 아르바이트를 선호하는 반면 25세 이상 연령대는 사무보조나 자료입력·문서작성 등 사무실 업무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발행처 : 알바천국

0

추천하기

0

반대하기

첨부파일 다운로드

등록자관리자

등록일2016-06-21

조회수1,832

  •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 밴드 공유
  • Google+ 공유
  • 인쇄하기
 
스팸방지코드 :

6월 고용보험 상시피보험자는 36만3천명 증가한 1,250만6천명

6월 고용보험 상시피보험자는 36만3천명 증가한 1,250만6천명- 고용행정 통계로 본 6월 노동시장 동향... 100인 미만 사업체 중심으로 고용이 증가(31만6천명) - 제조업 피보험자수는 전자제품(↓23.5천명), 기타 운송장비 제조(↓11.6천명) 부문 고용 감소로 증가 폭이 둔화(23천명)- 구직급여 신규신청자는 74천명으로 전월과 유사 6월 상시근로자(상용+임시, 일용 제외)의 취업 활..

Date 2016.07.08  by 관리자

산업단지형 공동직장어린이집 지원 5곳 선정

검단일반산업단지 내 입주한 중소기업들은 직장어린이집을 설치하고 싶어도 비용부담 등의 이유로 선뜻 나서지 못했다. 동 산단 내 입주한 대기업인 아시아나에어포트(주)는 직장어린이집 설치 의무이행 사업장이지만 부지확보 문제로 애로를 겪고 있었다. 이에 인천시에서 어린이집 설치에 필요한 부지(건물)를 제공하고, 대기업인 아시아나에어포트(주)가 설치비 등 비용을 ..

Date 2016.07.08  by 관리자

공공기관 청년 신규고용, 정원 대비 4.8% ... 70.1%가 청년고용 ..

공공기관 청년 신규고용, 정원 대비 4.8% ... 70.1%가 청년고용 의무 이행- 중앙부처 산하 공공기관은 76.1%, 자치단체 산하 공공기관은 57.6%가 이행 ’15년 청년고용의무 대상 공공기관(408개소)의 청년 신규고용비율은 4.8%이고, 청년고용 의무기준(정원의 3% 이상)을 이행한 공공기관은 286개소(70.1%)인 것으로 나타났다. ’14년 대비 청년 신규고용비율은 전년(4.8%)과 같으나 청년..

Date 2016.07.07  by 관리자

중앙행심위, “하도급인에게 산재보험급여액 부과는 잘못”

중앙행심위, “하도급인에게 산재보험급여액 부과는 잘못”- 공사 폐자재 수거·매입도 원수급 공사의 일부라면 하도급으로 봐야 국민권익위원회(위원장 성영훈) 소속 중앙행정심판위원회는 공공기관과 공사계약을 체결한 원수급인을 놔두고 하도급 받은 하수급인에게 산재보험급여액을 부과한 근로복지공단의 처분은 잘못이라고 재결했다.공공기관과 ‘집진기 개보수공..

Date 2016.07.07  by 관리자

노사정위, '고용차별개선연구회' 발족

노사정위, `고용차별개선연구회` 발족- 내년 7월까지 차별시정제도 등 비정규직 차별개선 방안 논의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는 7.6.(수) 16:00 위원회 대회의실에서 「고용차별개선 연구회, (이하 연구회)」를 발족하였다. 이번 연구회는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 격차가 해소되지 않고 있다는 인식하에, 현행 차별시정제도의 운영실태를 점검하고 노사관계자와 관련 전문가..

Date 2016.07.07  by 관리자

고용부, 2016년도「노사문화 우수기업」선정

고용부, 2016년도「노사문화 우수기업」선정- 원·하청 상생협력과 고용창출에 앞장 선 유한킴벌리, 인지에이엠티(주) 등 60개사 고용노동부는 상생의 노사문화를 모범적으로 실천한 기업 60개사를 2016년도 「노사문화 우수기업」으로 최종 선정했다.올해 노사문화 우수기업 중소기업 부문은 ㈜동성코퍼레이션 여수공장, 인지에이엠티㈜ 등 32개사가, 대기업 부문에서는 유한..

Date 2016.07.07  by 관리자

“중소기업 10곳 중 8곳, 일할 사람 없다”

“중소기업 10곳 중 8곳, 일할 사람 없다”- 구인난 겪는 이유 1위, ‘입사지원자가 너무 적어’ 중소기업은 10곳 중 8곳은 만성적인 구인난에 시달리는 것으로 나타났다.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www.saramin.co.kr 대표 이정근)이 중소기업 779개사를 대상으로 ‘평소 구인난을 겪는지 여부’를 조사한 결과, 무려 77.7%가 ‘겪고 있다’라고 밝혔다.사람을 뽑기 어려운 직무는 ‘제조..

Date 2016.07.07  by 관리자

병원노동자 20-30대 기혼여성 임신순번제 8.4%, 유·사산비율 2...

병원노동자 20-30대 기혼여성 임신순번제 8.4%, 유·사산비율 2.9%- 인력부족 심각... 병원사업장은 여전히 모성보호 사각지대 - 생리휴가 사용은 연 평균 4.9일뿐, 육아휴직 사용률은 41.3%- 육아휴직으로 인한 결원인력 ‘모성정원’ 확보 등 제도개선 절실 보건의료 사업장은 여성근로자가 80% 이상으로 대표적인 여성사업장이며, 가임기 여성이 70% 이상으로서 어느 사업장보..

Date 2016.07.06  by 관리자

사전협의 통해 일자리 사업 효율성 높인다

사전협의 통해 일자리 사업 효율성 높인다- 고용부, 내년 신설·변경 일자리 사업 사전협의 결과 통보 고용노동부는 문체부 등 15개 부처가 내년에 신설 또는 변경하려는 90여개 일자리 사업에 대해 사전협의 결과를 관계 부처에 통보했다고 5일 밝혔다.‘일자리 사전협의제’는 25개 부처에 산재돼 있는 일자리 사업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사업 기획 단계에서 고용부와 ..

Date 2016.07.06  by 관리자

중소기업 절반, 작년보다 “경영상황 어렵다” 호소

중소기업 절반, 작년보다 “경영상황 어렵다” 호소- 앞으로도 “2~3년은 어려움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 중소기업중앙회(회장 박성택) 전 임직원이 지난 4.21일~5.31일까지 중소기업 현장을 직접 방문해 경기 등 실물동향을 점검한 결과, 1년 전에 비해 경영상황이 <악화되었다>는 중소기업이 47.5%에 달한 반면, <개선되었다>는 곳은 28.9%에 그쳤다. 현재의 경영상황 ..

Date 2016.07.06  by 관리자

워크넷 청년구직자 74.8% “거주지-희망근무지 동일”

워크넷 청년구직자 74.8% “거주지-희망근무지 동일”- 청년구직자 평균 의중임금 178.6 만원 … “거주지 고려한 맞춤형 정보 제공해야” - 지난해 워크넷 이용한 청년구직자 533,392명의 희망근무지와 의중임금 등 비교·분석한국고용정보원(원장 유길상)은 지난해 취업정보사이트 워크넷을 이용한 순수 취업희망 목적의 청년구직자 15~29세 53만3,392명의 희망 근무지와 의중임금..

Date 2016.07.06  by 관리자

중기 직장인 76% '올해 연봉 동결'

중기 직장인 76% `올해 연봉 동결`- 중기 과장급 연봉.. 평균 4,050만원, 경력 평균 10년차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중소기업에 근무하는 남녀직장인 1,328명을 대상으로 <올해 직급별 평균연봉>을 조사했다. ‘올해 연봉이 인상 되었는가’라는 질문에 전체 응답자의 76.0%가 ‘동결됐다’고 답했다. ‘인상됐다’는 응답자는 20.1%에 그쳤고, `하락했다‘는 응답자는 3.9%로 적었다...

Date 2016.07.05  by 관리자